'Fantast의 게임이야기 > MM2-도시(업로드)' 카테고리의 다른 글
48x City(V.7) (0) | 2015.06.26 |
---|---|
Tai Po City (0) | 2014.06.08 |
X96A City(ver 1.1) (2) | 2011.12.09 |
23x28a City Ver 1(2010.10.20 출시판) (0) | 2011.11.15 |
Hong Kong Island 고디텔(Ver. 09.8) (1) | 2011.11.13 |
48x City(V.7) (0) | 2015.06.26 |
---|---|
Tai Po City (0) | 2014.06.08 |
X96A City(ver 1.1) (2) | 2011.12.09 |
23x28a City Ver 1(2010.10.20 출시판) (0) | 2011.11.15 |
Hong Kong Island 고디텔(Ver. 09.8) (1) | 2011.11.13 |
(사진1)2006년 11월에 촬영한 완쯔 구(Wan Chai/灣仔區)
현재의 홍콩은 뭔가 평행선에 서 있는 듯 보인다. 경제적인 면에서는 중국 정부와 긴밀히 협력해 나가면서 지속적으로 발전하고 있지만, 정치적인 면에서는 갈수록 사람들의 불만족이 심해져 가는 듯 보인다. 홍콩 병합에 따른 체제 변화에 따른 불안은 1980년대부터 계속된 일이다. 83년에 환율 폭락 사태가 벌어지는가 하면, 97년 홍콩 병합 직전 이민율(emigration rate/정확히는 홍콩 이탈율?)이 폭증하기도 했다. 대중매체에서도 병합에 따른 불안이 적나라하게 묘사되어 있다. 과연 이것이 홍콩 국민들의 진짜 생각일까? 다른 포스팅에서도 봤겠지만, 올해 초 모 설문조사에 따르면 홍콩인의 90%가 과거 영국이 통치하던 시절이 현재보다 낫다고 응답했고, 2008년에는 전체 보통 선거를 요구하는 시위가 벌어지기도 했다.
현재의 홍콩은 말이 민주화지, 완전하게 민주화된 곳은 아니다. 행정장관 선출을 시민들이 직접 할 수 없고, 선거인단 역시 중국 중앙정부의 손아귀에 놓여 있으며, 지방의회 의원 역시 선거법 규정으로 인해 친중국 계열 사람들이 많아지는 추세이다. 만일 앞에서 언급한 설문조사가 실제 홍콩인들의 생각이라면, 이는 대형 충돌을 불러올 가능성이 있다. 현재 중국 중앙정부의 정책은 "하나의 중국"이다. 일국양제라는 개념이 대만을 의식했지, 홍콩을 의식한 것이 아니라는 추측까지 나올 정도이다. 비록 97년에 50년간 기존 체제를 유지할 것이라는 보장을 받아내기는 했지만, 홍콩도 나중에 가서는 완전히 중국에 흡수되어야 하는 곳이다. 만일 홍콩 시민들이 이것을 우려하는 것이라면, 중앙정부는 상당히 난처해질 것이다.
정치적으로만 문제가 있는 것이 아니다. 현재 중국의 경제시스템은 자본주의를 채택하고는 있지만, 그 기저에는 공산당식의 계획 경제가 깔려 있다. 그러나, 홍콩의 경제시스템은 경제상황이 좋을 시에는 정부가 거의 개입하지 않는 자유방임주의이다. 세율 등 각종 규정 역시 자본 투자에 유리하게끔 맞춰져 있다. 그러나, 만일 홍콩이 중국화된다면 과거에 누렸던 영광은 없어질 가능성도 있다. 그나마 다행인 것은 중국의 경제특구 역시 홍콩과 비슷한 파격적 정책을 통해 대성공을 거뒀다는 점이다.
과연 기존 체제를 유지하는 기간이 끝나면, 홍콩은 어떻게 될 것인가? 아마 중국 중앙정부 입장에서는 크나큰 골칫거리가 될 가능성이 높다. 사람들의 마음가짐이 중국식이 아닌 영국식으로 되어 있고, 민주화를 외치며, 자유방임주의를 옹호한다. 이는 중국 중앙정부의 경제 및 정치 시스템과 정면으로 배치된다. 기존 체제 내에서 이 갈등을 부분적으로나마 봉합할 수 있는 방법은 경제특구 말고는 없을 것이다. 하지만, 경제적인 봉합만이 문제가 아니다. 정치적인 갈등을 해결하고 홍콩인들을 중국인으로 끌어안으려면 신중하고 또 신중한 접근이 필요할 것이다. 1967년 폭동 때처럼 인민군을 동원해 홍콩을 점령해 버리자는 식의 발상이나 결국 홍콩은 자치를 종료하고 중국령이 된다는 것이나 어떻게 보면 똑같은 사고방식일 수 있기 때문이다.
결국, 현재 홍콩은 아마도 중국화된다는 불안 속에서 겉으로는 성장을 지속하지만, 자치 이후의 시대를 걱정하는 기류는 여전한 것 같다. 중국 본토와 홍콩은 많은 면에서 서로 상반된다. 계획경제가 가미된 자본주의 대 긍정적 자유방임주의의 구도라던지, 민주주의 대 사회주의의 구도만 보더라도 얼마나 홍콩인을 끌어안는 게 어려운 문제인지를 짐작할 수 있다. 정치적·경제적 갈등을 모두 해결하지 않는 한, 자치 시대 이후의 홍콩은 또다시 1967년 폭동 때와 비슷한 격동기를 겪을 수도 있다는 사실을 양측은 모두인지하고 있어야 할 것이다.
홍콩에서의 중국의 영향력 (0) | 2013.06.20 |
---|---|
홍콩 바로 위, 중국 선전(深圳) (1) | 2013.06.20 |
홍콩의 교외 지역 (0) | 2013.06.20 |
홍콩 식민사 (0) | 2013.06.19 |
홍콩의 사회와 문화(2. 중국계열) (0) | 2013.06.19 |
홍콩이 아무리 영국의 식민지였다고는 하지만, 그 발전상에는 언제나 중국이 함께했다. 문화적인 것을 제외하고도 그러했다. 홍콩은 옛날부터 전란을 피하려는 남방 중국인들의 피난처였다. 태평 천국 운동, 제 1차 세계 대전, 국공 내전 때 전쟁을 피해 내려온 중국인 이민자들이 꽤 있었다. 홍콩이 1950년대의 중개 무역항으로써의 지위가 흔들렸을 때 홍콩을 되살린 것은 중국 본토에서 내려온 기술 인력이었다. 이들이 있어 홍콩은 1950~60년대까지 경공업 분야에서 성공을 거두면서 지속적인 성장이 가능했었다. 홍콩이 중개 무역항으로써의 지위를 회복한 것 역시 중국 때문이었다. 중국의 개혁·개방 정책으로 인해 공업 분야가 쇠퇴하기는 했지만, 중국 본토로의 교역 재개는 홍콩을 이전의 중개 무역항의 지위를 누릴 수 있게 만들었다. 중국으로의 반환 이후에도 홍콩 특별행정구는 중국 당국과 긴밀하게 협력해 나가면서 계속 발전하고 있다.
(그림1)1967년 홍콩 폭동 당시의 사진.
한편, 중국 본토가 정치적으로도 홍콩에 영향을 미치고 있다. 물론 반환 전에도 크게 영향력을 미친 적이 있다. 바로 1967년 홍콩 폭동이다. 1966년에 중국 본토에서 문화대혁명이 일어나면서 본토가 혼란에 휩싸였고, 같은 해 12월에는 마카오에서 대폭동이 일어났으며, 사실상 성공을 거두었다. 이에 자극을 받아 1967년 5월, 홍콩에서도 폭동이 일어났다. 발단은 한 공장의 파업에서 시작했으나, 판이 점점 커져서 대중교통이 마비되고, 급기야 6월 8일에는 선전의 시민군이 국경 마을을 공격하면서 급기야 홍콩 식민정부는 비상사태까지 선포하기에 이르렀고, 각종 좌파 시설들이 폐쇄되었다. 좌파들은 폭탄과 무기까지 들고 시위 진압을 시도하려던 경찰과 영국군에게 저항하였고, 시위대의 폭력을 비판하던 인사들이 암살당하거나 중상을 입는 등 사태가 심각해졌다. 10월이 되어서야 폭력 사태가 진정되었다. 또한, 당시 인민해방군 광저우 지대장이었던 황용셩(黃永胜)이 홍콩 점령을 건의했다가 저우언라이(周恩来)한테 거부당했다고 한다.
또한, 홍콩이 중국으로 반환된다는 사실 그 자체도 홍콩을 한동안 들었다 놨다 했다. 1982년부터 홍콩 반환까지, 홍콩은 정치적인 압력에 시달렸다. 1983년 9월에는 누적된 경제적 불안정성이 폭발하면서 홍콩달러의 가치가 급락, 급기야 정부가 같은 해 10월에 고정환율제를 시행하기에 이르렀으며, 영화 영웅본색에서는 "홍콩의 야경이 이렇게 아름다운 줄 몰랐어. 하지만 오래 못 가니... 아까워..."라는 대사가 나올 정도로 당시 홍콩 사람들이 얼마나 불안해했는지를 적나라하게 설명하고 있다. 또한, 1997년 반환 직전에는, 홍콩의 이민(emigrant)율이 치솟았다. 역시 이후의 불안에 대해 걱정한 사람들이 홍콩을 떠나간 것이다.
(그림2)2008년 홍콩 민주화 시위 사진
홍콩 반환 이후에는, 중국 본토의 영향력이 점점 더 커지고 있는 게 현실이다. 행정장관은 중국 정부의 임명을 받아야 하고 행정장관 선거인단 역시 중국 추천 인사로 채워져 있다. 또한, 홍콩 내 의회에서의 반중앙파(민주주의파)들은 선거법에 의해 입지가 점점 좁아지고 있다. 중국 공산당이 생각하는 흐름과는 별개로, 민주주의를 바라는 사람들은 점점 더 늘어나는 듯한 모습을 보인다. 2008년에 대규모의 민주화 시위가 있었으며, 전체적인 사람들의 생각 역시 점점 중앙정부로부터 멀어지고 있다. 다른 글에서도 언급한 사안이지만, 올해 실시한 모 설문조사에 따르면, 홍콩인들의 90%가 현재의 상황보다 영국 식민지 시절이 더 낫다고 답했을 정도다.
(참고한 사이트)
http://en.wikipedia.org/wiki/History_of_Hong_Kong_(1800s%E2%80%931930s)
홍콩의 운명은? (0) | 2013.06.20 |
---|---|
홍콩 바로 위, 중국 선전(深圳) (1) | 2013.06.20 |
홍콩의 교외 지역 (0) | 2013.06.20 |
홍콩 식민사 (0) | 2013.06.19 |
홍콩의 사회와 문화(2. 중국계열) (0) | 2013.06.1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