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가 사상
도가 사상은 춘추 시대에 노자와 장자가 설파한 사상이다. 도가 사상은 도의 존재와 무위자연을 설파하였으며, 이상 사회로 소국과민 사회를 제시하였다. (여기서 소국과민 사회란 소공동체를 의미한다.) 도가 사상은 당시 큰 정치적 지지를 얻지는 못하였으나, 후일 한 대에 들어서 오두미교로 발전하였고, 이는 여러 과정을 거쳐 위진남북조 시대에는 구겸지에 의해 도가 사상이 도교로 발전하기에 이른다. 이 때를 전후해서 귀족층에게도 도가 사상이 널리 퍼져 청담 사상이 유행하는가 하면, 죽림칠현이 등장했으며, 도교의 기본 정신인 탈속세, 자연과의 합일은 당시 문화의 주요 코드로써 기능하였다.
도교는 이후에도 중국 사회에 큰 영향을 끼치고 있다. 바로 뒤 당 왕조 때는 도교가 황실의 지원을 받으면서 성장하였고, 이는 송 때까지 이어졌다. 특히, 현세의 이익을 중요시하는 사상은 농민들의 요구와 잘 맞아떨어지면서 여러 농민 봉기의 명분으로 작용하기도 했다. 현대 중국인들에게까지도 도교는 마음 속 깊이 뿌리박혀 있다. 각종 신화와 관련된 신의 숭배라던가, 관우상에 대한 숭배 등이 현대 중국에서의 도교의 영향을 반영한다. 중국인들이 믿는 모든 종교에는 도가적인 요소가 들어있다고까지 말할 정도니 말이다.
[참고 문헌]
박한제 외 4인 지음, 『아틀라스 중국사』 (파주: 사계절, 2007), pp. 26~27,
http://ko.wikipedia.org/wiki/%EB%8F%84%EA%B5%90
'Fantast의 중국이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1-1. 안∙사의 난 (0) | 2013.04.01 |
---|---|
3-3. 원나라의 중국 통치 (0) | 2013.04.01 |
3-1. 유학의 발생과 변천(~성리학) (0) | 2013.04.01 |
2-4. 정화의 대원정 (0) | 2013.04.01 |
2-3. 수나라의 대운하 건설 (0) | 2013.04.0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