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나라의 대운하 건설
수나라의 대운하는 문제와 양제, 양대에 걸쳐 지어졌다. 수 문제 때는 광통거가 개통되었고, 수 양제 때는 605년부터 610년까지의 기간에 통제거, 한구, 영제거, 강남하가 개통되었다. 특히 수 양제가 동부 4개 운하에 공을 들인 이유는 무시할 수 없는 강남의 경제력이었다. 강남의 경제력을 확보해야 계획 중인 고구려 원정을 신속하고 빠르게 단행할 수 있었고, 화북 지방과 강남 지방을 고속으로 연결하여 강남 지방의 경제 개발 성과를 북쪽으로 흡수하려는 것이었다.
한때는 이 운하가 관용으로만 이용되었다. 수 양제가 강남을 순행할 때 대운하를 이용하였고, 고구려 원정 당시의 군수물자도 대운하를 통해 탁군으로 운송되었다. 그런데, 후일 이 운하가 민간에 개방된 이후 더 많은 이득이 있었다. 북쪽과 남쪽이 연결되었음은 물론이거니와, 장안이 계속 수도로 기능하게끔 역할을 해 준 것도 대운하였고, 카이펑이 교통의 중심지로 부각되어 나중에 북송은 이곳을 수도로 삼기에 이르렀다.
하지만, 단시간 내에 그렇게 긴 운하를 개통시키는 데에는 당연히 부역의 고통이 따랐다. 당시 부역으로 동원된 사람은 무려 1억 5천만 명에 이르며, 심지어는 어린 아이들까지도 부역에 동원되는 등 백성들의 고통은 엄청났다. 이는 수 양제의 학정의 시작이었고, 이어서 고구려 원정에 실패하면서 각계각층의 불만이 터져나왔다. 결과적으로 대운하가 경제적으로는 엄청난 이득을 가져다 준 게 맞지만, 정작 수나라를 무너뜨린 요인으로도 작용해 버린 것이다.
그림출처 : http://home.olemiss.edu/~gg/hstrymap/lishidit.htm, 필요에 의해 수정을 가함.
[참고 문헌]
박한제 외 4인 지음, 『아틀라스 중국사』 (파주: 사계절, 2007), 66~67p.
'Fantast의 중국이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3-1. 유학의 발생과 변천(~성리학) (0) | 2013.04.01 |
---|---|
2-4. 정화의 대원정 (0) | 2013.04.01 |
2-2. 동진의 천도 (0) | 2013.04.01 |
2-1. 실크로드 (0) | 2013.04.01 |
6-3. 덩 샤오핑의 개혁·개방 체제 (0) | 2013.04.01 |